한국인은 왜 라면에 이토록 진심인걸까. 세계인스턴트라면협회(WINA) 집계를 보면, 2018년 기준 1인당 연간 라면 소비량은 한국(74.6개)이 세계 1위다. 일주일에 한번이상 끓여먹는다는 얘기다. 라면 회사가 수없는 실험 끝에 만든 공식 조리법도 있는데 아무도 말을 안 듣는 ‘특이한’ 식품이기도 하다. ‘밥 맛있게 짓는 법’보다 ‘라면 맛있게 끓이는 방법’에 1000배쯤은 더 관심이 많다.
최근 떠오른 라면 조리계의 새 논쟁 신호탄은 김상욱 경희대 교수(물리학)가 쏘아 올렸다. 일명 ‘찬물라면 조리법’이다. 지난 2일 김 교수는 페이스북에 ‘라면의 새역사를 열다’는 제목으로 ‘찬물에 라면과 스프를 넣고 물을 가열하기 시작했다’는 내용의 글을 썼다. 그는 이 방식이 조리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데다 ‘완벽한 면발’이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가 올린 이 글은 8일 만에 공유만 800여건이 넘고 2천여개가 넘는 ‘좋아요’가 찍히는 대박 콘텐츠가 됐다. 추후 김 교수는 “방송사와 유튜브 채널로부터도 여러 연락을 받았다”는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
김상욱 교수 페이스북
국내 대표 라면 ‘신라면’과 ‘진라면’의 봉지 뒷면에 나와 있는 공식 조리법은 이렇다. ‘신라면: 물 550ml를 끓인 후, 면과 분말스프, 후레이크를 같이 넣고 4분30초간 더 끓이면 얼큰한 소고기국물 맛의 신라면이 됩니다. 진라면: 550ml에 건더기스프를 넣고 물을 끓인 후 분말스프를 넣고 면을 넣은 후, 4분간 더 끓입니다.’
두 라면 모두 물을 끓인 후 스프와 면을 넣도록 돼 있다. 왜 그런지 라면 제조사에 직접 물어봤다. 처음엔 농심도 오뚜기도 “교수님이 웃자고 쓰신 얘기죠~”, “저희는 소비자들의 각종 레시피를 환영합니다”라며 공식 ‘코멘트’하기를 꺼려했다. 하지만 정색하자 두 회사도 진지한 답변을 내놨다.
농심 쪽은 “찬물 조리법은 문제는 없지만, 교수님 표현대로라면 ‘변인 통제’가 안 된다”고 말했다. 찬물의 온도부터가 제각각이라는 것이다. 섭씨 5도든 10도든 찬물이다. 또 집집마다 가스레인지나 인덕션 등의 화력도 다르다. 찬물 조리법은 보편화할 수 없지만, 끓는점 100도씨는 명확하다는 것이다. ‘완벽한 면발’이라는 표현도 김 교수의 개인적 취향일 것이라고 했다. 결론은 “한결같을 수가 없다”는 점이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