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을 마치고 귀국해 지금은 은퇴를 결정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밝힌 김연경은 여지를 남겨둔 듯했으나 결국 태극마크를 복원했다. 아울러 귀국 후 여자대표팀 인터뷰 논란으로 비난을 받았던 유애자 감독도 사과하고 사임했다. 이어 오한남 대한배구협회 회장도 고개를 숙였다. 그런데 김연경이 공식 은퇴를 선언한 날 사과문을 보낸 이유는 무엇일까? 유재자 감독과 오한남 회장이 정말 김연경을 배려했다면 꼭 당일에 사과문을 보낼 필요가 있었나? 지금부터 자세한 정보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국가대표를 꿈꾸던 배구 유망주들에 한국 배구선수 환인 김연경이 합류했다. 그러다가 작별 인사라는 단어를 발견했습니다. 안타깝지만 타이밍이 공평했습니다.
한편
도쿄 올림픽 시작 전부터 이번이 마지막일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쳐왔던 김연경은 세르비아와의 동메달 결정전을 마친 뒤 사실상 오늘이 국가대표로 뛴 마지막 경기라고 선언했습니다. 하지만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할 때는 아직은 은퇴 발표라고 말씀드리기는 좀 그렇다며 이건 의논을 해야 하는 부분이고 얘기를 더 해봐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단정 지어서 말씀은 못 드릴 것 같다고 여지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결국 배구여제 김연경은 17년 동안 가슴에 달았던 태극마크를 내려놓았습니다. 12일 대한배구협회는 김연경이 오한남 배구협회장에게 국가대표 은퇴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5회장은 본인의 의사 의사를 존중해 은퇴를 받아들인다는 입장입니다.
김연경은 막상 국가대표 선수를 그만둔다 하니 서운한 마음이 든다며 국가대표 선수로서의 활동은 내 인생에 있어서 너무나 의미 있고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은퇴 소감을 밝혔습니다. 이어 그간 많은 가르침을 주신 감독님들과 코칭 스태프님들 같이 운동해 온 대표팀 선배님들 후배 선수들 너무 고마웠다며 그분들이 아니었으면 오늘의 김연경은 없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이제 대표팀을 떠나지만 우리 후배 선수들이 잘해줄 것이라 믿는다 비록 코트 밖이지만 열심히 응원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리고
오한남 배구협회 회장은 지난 17년간 대표선수로 열심히 활동했다며 김연경이 대표선수로 자주 출전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성과도 훌륭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인생 계획도 중요하다”며 연금 수급자의 의견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선수가 남은 선수생활 동안 건강하고 성공적인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늘 응원할 것이며, 회장님과 같은 훌륭한 선수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큰 행운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협회는 김연경에게 대표팀 공식 은퇴식을 제안했지만, 김연경은 선수 생활을 마치며 은퇴식을 열겠다며 거절했다. 소식을 접한 팬들은 우리 영원한 캡틴의 노고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앞으로도 캡틴의 배구생활 발전을 응원하겠습니다.
17년 동안 몸에 지니고 있던 태극마크의 무게를 내가 어떻게 감히 감당할 수 있겠는가? 정말 열심히 일하셨어요. 덕분에 행복했어요. 응원과 감사의 메시지를 보내드렸습니다. 저도 이제 대표팀에서 김연경 선수를 볼 수 없을 것 같아 너무 아쉽습니다. 국가대표 경기를 볼 때마다 김연경은 늘 그 자리에 있었다. 국가대표팀 탈퇴 소식을 이렇게 접하고 김연경을 국가대표 선수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모습은 참 묘한 기분이었다. . 한편, 여자대표팀 인터뷰 중 상을 애용했다는 이유로 귀국해 비난을 받았던 유애자 감독이 사과하고 사임했다. 12월 12일 유자자의 후견인은 대한배구협회를 통해 대한배구협회 홍보부회장 유해자이다.
2020년 도쿄올림픽을 마치고 2021년 8월 9일 귀국한 여자배구대표팀과의 인터뷰에서는 선수들의 노력을 독려하고 배구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표하는 기회가 됐다. 팬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저는 현 상황에 대해 큰 책임감을 통감하며 대한배구협회 홍보부 회장직을 사임하고 깊은 반성의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나는 미안하다고 말했다. 이어 오한남 대한배구협회 회장도 고개를 숙였다.
오한남 회장도 2020년 도쿄 올림픽 이후 귀국한 여자배구 대표팀의 인터뷰와 공항에서 발생한 내용에 대해 대한배구협회를 통해 사과하고, 배구를 사랑하고 감상하는 배구팬들과 시민들에게도 사과했다. 2021년 8월 9일 개최된다. 깊은 유감을 표시했다. 오한남 위원장은 올림픽 준결승 진출이라는 쾌거를 이뤄 국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여자 대표팀을 환영하고, 김 위원장과의 인터뷰에서 연준에게 여론에 대한 질문을 전하고 싶었습니다.
이어
이는 이미 여러 언론을 통하여 대표팀 포상금과 문재인 대통령의 격려 메시지가 보도된 상태였기에 관련 내용을 부각시키거나 어떠한 정치적인 목적을 지닌 것이 아니었음을 정중히 말씀드린다고 설명했습니다. 강요 인터뷰로 논란의 중심이 된 유애자 홍보부 위원장에 대해서는 페네르바체 클럽 경기를 전담 해설하는 등 평소 김연경 선수와 친분이 두터운 사회자가 배구 선배로서 스스로 먹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발생한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끝으로 오한남 회장은 이로 인하여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드리며 향후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사과문을 마무리했습니다. 근데 왜 하필 김연경 선수가 공식 은퇴를 발표한 날 사과문을 올렸을까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유애자 감독관과 오한남 회장이 진심으로 김연경 선수를 생각 생각했다면,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한 날 굳이 사과문을 올릴 필요는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사과할 시간은 충분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도 대한배구협회는 시간이 모든 걸 해결해 주겠지만, 안일한 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결국 대한배구협회는 김연경 선수가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하면 모든 언론은 유애자 감독관이 아닌 김연경 선수 은퇴 소식을 전할 거고. 그렇게 되면 귀국 인터뷰 논란을 잠재울 수 있을 거라 생각한 것 같습니다. 마지막 순간까지 협회와 상의해 보고 은퇴 문제를 말씀드리겠다던 김연경 이처럼 배려심 깊은 그녀에게 협회는 무엇을 해 주셨나요? 결국 김연경 선수가 바랬던 건 조금의 관심이었습니다.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지만 김연경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이어
대한배구협회가 지금 웃을 수 있는 것 또한 다 김연경 선수 덕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